스트레스 많은 중년 남성, 당뇨병 위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세계 당뇨병의 날(11월 14일)을 맞아, 2005~2009년 ‘당뇨병(e10~e14)’에 대한 심사결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30~50대 당뇨병 환자 62%가 남성이며, 여성의 2배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05년 185만 8,000명에서 2009년 214만 6,000명으로 4년간 약 28만 8,000명, 연평균 3.7% 증가했으며, 총진료비는 2005년 3,030억원에서 2009년 4,463억원으로 4년간 약 1,433억원, 연평균 10.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년도의 성별 점유율은 남성이 약 52%, 여성이 약 48%로, 남성환자가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평균증가율도 남성이 4.2%, 여성이 3.1%를 보여 5년동안 남성환자가 더 많이 증가했다.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 당뇨병은 남성의 경우 50대에, 여성은 60대에 가장 높았다. 특히 남성환자는 30~50대에서 동 연령대의 여성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0~50대의 남성은 직장생활 및 가장으로서의 책임감 등으로 인해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데 이를 적절히 해소하지 못하는 것이 위와 같은 현상의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스트레스는 당뇨병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나, 심리적 스트레스로 인해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는 뇌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식생활습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여성은 일반적으로 걱정근심이나 우울한 마음을 서로 털어놓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려고 노력하는데 반해, 남성은 자신의 기분을 감추고 술, 흡연, 약물 등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므로 당뇨병의 위험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당뇨병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몸에서 포도당의 이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대사 질환이다. 당뇨병은 비만, 노화, 임신, 감염, 수술, 스트레스, 약물남용 등의 여러 가지 환경 인자가 작용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의 3대 증상은 다음, 다뇨, 다식이며 이외에 시력장애, 성장장애, 여러 감염증 등이 생길 수 있다.
당뇨병은 크게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으로 구분된다.
당뇨병의 합병증으로는 미세혈관 합병증(신경병증, 망막병증, 만성신부전)과 대혈관 합병증(심혈관계질환, 뇌졸중, 말초혈관질환)이 있다. 당뇨병에서는 질환 자체보다는 만성적인 합병증으로 인해 건강을 해치고 생명을 단축하게 된다. 따라서 혈당 조절 외에 동반되는 고혈압과 고지혈증 등의 조절이 중요하다.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