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칼럼

메인화면_커뮤니티_건강칼럼

제목

COPD 폐 발작, 사회적 영향 심각해

세계 copd(만성폐쇄성폐질환)의 날을 맞아 copd 악화 또는 폐 발작이 환자의 삶에 주는 실질적인 영향에 관한 연구 조사 결과가 발표돼 주목을 끌고 있다. 보고서 ‘listening to the patients’ 에서는 대규모 국제 조사를 통해 환자의 경험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환자 10명 중 7명은 전년도에 폐 발작 경험이 있으며, 환자의 절반 이상은 지난해 2건 이상의 폐 발작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 폐 발작이 copd 환자에게 여전히 큰 문제임을 확인했다. 이번 조사에서 환자들은 폐 발작이 자신을 얼마나 나약하게 만들고, 두렵고, 불안하고, 우울하고, 무력하게 만드는지를 묘사하였다. 또한 환자들은 악화로 인해, 죽을 수도 있다는 불안감을 느끼며 호흡곤란으로 익사나 질식을 당하는 느낌을 갖는다고 답하였다.

copd은 전세계에서 약 2억1000만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며 현재 11초에 한 명 꼴로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 2030년이면 3대 사망 원인이 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환자의 증상이 악화되는 잦은 폐 발작은 질환의 빠른 진행뿐만 아니라 폐 기능 감소, 사망위험 증가 등을 포함하는 건강약화와 관련이 있다. 특히 일부 환자들은 빈번한 악화에 취약하며, 최근의 eclipse 연구 결과 기존의 치료제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22~47%가 여전히 빈번한 폐 발작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i

영국 런던 흉부 병원의 닐 반즈 교수는 “copd 악화가 환자의 삶에 주는 심각한 영향은 과소평가될 수 없다”며 “조사 결과, 전세계 환자들은 불안감, 공포, 대인관계 악화로 고통받고 있으며 copd 상태가 나빠질 때 생기는 악화, 폐 발작은 환자에게 공포와 두려움의 대상”이라고 말했다.

이번 보고서는 또한 copd 환자들이 ‘악화’로 인한 개인의 사회적 활동, 대인 관계, 부부 관계, 미래 계획 능력의 어려움이 증가하면서 어떻게 외로움과 고독감을 느끼게 되는지를 보여준다. 또 의사들이 copd 폐 발작이 환자의 삶에 주는 12개월간의 영향에 대해서도 계속해서 저평가하고 있음을 증명했다. 이는 copd 폐 발작으로 입원 후 12개월 이내 사망률은 심장마비로 입원 후 12개월 내 사망률 보다 높다는 증거에도 이 같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copd 날은 11월 17일

세계 copd 날(world copd day)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해 마련된 연례행사로 만성 폐쇄성 폐질환 글로벌 이니셔티브(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gold)가 주도ㆍ 후원하고 있다.

copd란 무엇일까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은 아직까지 치료제가 충분하지 않다. 진행성이며 비가역적인 폐질환으로 호흡곤란 상태를 야기 시키며 특징인 악화(exacerbation)는 중증으로 병의 증세가 급격히 악화되는 일련의 과정들로 정의된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세계에는 8000만 명이 중등도 이상의 copd 환자가 있다. 2005년 이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는 3백만 명 이상으로 전세계 사망원인 중 5%를 차지했다. who는 이 질환의 위험요인, 특히 흡연을 줄이기 위한 시급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향후 10년 후 copd로 인한 총 사망자가 30% 이상 증가할 수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 (www.hidoc.co.kr)